인동 덩굴
- misses240wood66
- Sep 20, 2022
- 2 min read
‘인동덩굴꽃봉오리추출물’ 위 건강 도와 : 네이버 블로그 728x90 오늘의 [논어 論語 와 나무 이야기]는 논어 제12편 안연 顔淵 의 첫 번째 문장을 소개해 드릴까 합니다. - 이 글은 공자님이 가장 아끼셨던 애제자 안연의 인 仁 에 대한 질문에 '자기 자신의 욕심을 버리고 인간의 도리라 인동 덩굴 예 禮 를 따르는 것이 인 仁 을 실천하는 기본'이라고 가르침을 주신 거라 할 수 있는데요. 꽃대장이 이 글을 읽으며 떠올린...
인동덩굴 인동초 꽃 식물도감 > 트리인포" title="덩굴 인동">
인동덩굴 과명 : 인동과 학명 : Lonicera japonica Thunberg 영명 Golden-and-silver honeysuckle 2013. 길이 5m 가량 뻗으며겨울까지 잎이 붙어 있다. 줄기의 작은 가지는 적갈색을 띠며털이 있고 줄기 속은 비어 있다. 어린잎은 양면에 털이 인동 덩굴 자라면서 없어지고뒷면에 약간 남아 있는 것도 있으며 잎자루에는 털이 있다. 꽃받침 열편은 삼각형이며화관은 3 ㎝ 정도의 깔때기 모양으로끝이 입술 모양으로 2 갈래로 깊게 갈라지고 위쪽 열편은 4 갈래로 갈자진다. 꽃은 간혹 10 월까지도 피는 것이 있다. 처음에는 흰색 꽃이 피며 나중에 노란색으로 변한다. 수술은 5 개이고암술은 인동 덩굴 개이다. 증식은 꺾꽂이포기나누기종자로 한다. 인동덩굴은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식물이다. 인동 忍冬 은 그 이름에서 보듯이 모질게 추운 겨울을 참고 견디어 내는 인고의 장한 뜻이 있는 식물이다. 무성하게 자라는 성질과 기품 있는 꽃이 어울리는 계절은 역시 초여름이 아닌가 싶다. 옛 사람들은 인동 꽃이 피는 것을 보고 여름이 오는 것을 알았다고 할 만큼 꽃이 매력적이며아름다운 자태를 뽐낸다. 선조들은 꽃이 잎겨드랑이에서 나란히 피는 모습에서 형제지간의 돈독한 우애를 보았으며인동의 꽃은 매력적이고 은은한 향기가 있다. 더불어 각종 옹종옴이질인동 덩굴위방광염염증질병에도 많이 쓰임이 있어 연구 개발의 가치가 높은 식물이다. 특히 꽃봉오리는 위장의 건강과 보호에 효과가 있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중국러시아일본 유럽에도 분포하며... 인동덩굴 : 네이버 블로그
인동덩굴 계: 미분류 : 미분류 : 미분류 : 목: 과: 속: 종: 인동덩굴 Lonicera japonica 1784 인동덩굴 忍冬- Lonicera japonica 은 한반도 각처의 산과 들의 양지바른 곳에 흔한 덩굴성 낙엽관목으로 길이 5m이다. "겨우살이덩굴", "금은등" 金銀藤"금은화" 金銀花"인동" 忍冬"인동초" 忍冬草 등으로도 불린다. 가을 또는 겨울까지 잎이 붙어 있으며, 줄기는 오른쪽으로 감기고, 소지는 적갈색, 털이 있고, 속은 비어 있다. 잎은 마주나며, 긴 난형, 긴 타원형 또는 넓은 피침형,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고, 털이 나 있다. 어린잎은 양 면에 털이 있으나 자라면 없어지고, 뒷면에 약간 남아 있는 것도 있다. 꽃은 처음에는 흰색이나 나중에는 노란색으로 변하고, 잎겨드랑이에서 1-2송이씩 붙고, 가지 끝에 밀생하는 것 같다. 꽃받침통은 털이 없고, 갈래는 난형, 끝에 털이 있다. 수술은 5개, 암술은 1개이다. 열매는 장과로 둥근 모양이며 검은색으로 익는다. 인동 덩굴 [ ]. 약용으로 많이 쓰이는 인동덩굴
남쪽지방에서는 겨울에도 거의 잎을 달고 있으나 북쪽 지방으로 올라갈수록 잎 일부가 남아서 반상록 半常綠 상태로 겨울을 넘긴다. 그만큼 어려운 환경이 닥쳐도 잘 버틸 수 있는 강인한 식물이다. 인동덩굴의 옛 이름은 겨우살이넌출이다. 겨울을 살아서 넘어가는 덩굴이란 뜻이다. 왼쪽으로 감아 나무에 붙으므로 좌전등이라 한다. 또 추운 겨울에도 죽지 않기 때문에 인동이라 한다. 옛사람들은 흔히 풀로 알았고, 지금도 인동초 忍冬草 로 더 널리 알려져 있다. 인동 忍冬 은 중국 한자에서 유래한다. 꽃이 피는 시기가 서로 다르므로 한 나무에 갓 피기 시작하는 흰 꽃과 져가는 노란 꽃이 같이 섞여 있는 2색 꽃이 되어서 금은화 金銀花유럽으로 건너간 인동덩굴은 꽃에 꿀을 많이 가지고 있
Comentarios